보건증 재발급 5분만에 인터넷 출력 방법

보건증 재발급 받으러 보건소나 일반병원에 다시 검사받을 생각이셨나요? 1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온라인으로 집에서 출력이 가능합니다. 시간낭비를 줄이고 무료로 인쇄할 수 있으니 아래 방법을 따라와주세요.

기간

보건증은 1년이 유효기간이지만, 업종에 따라서 유흥업소는 3개월, 급식 직종은 6개월 등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보건증을 발급해주어야 되는데요.

1년이 지나면 다시 보건소에 찾아가 긴 대기줄을 기다리며 검사를 받아야 되지만, 아직 1년이 지나지 않은 상태라면 보건소에 방문하지 않아도 집에서 5분만에 재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방법이 매우 쉽고 비용도 들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번거롭게 보건소에서 검사 신청을 하거나 발급 받지 않아 과태로 몇십만원 지불하기 전에 지금 5분만 투자해 봅시다.

보건증 재발급 방법

먼저 요약된 재발급 방법을 알려드리고 사진과 함께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방문하기
  • 민원서비스→ 증명문서 발급→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 순으로 클릭하기
  • 간편인증 혹은 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하기
  • 증명문서 조회 및 발급하기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방문하기

e보건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맨위에 메뉴들중 민원서비스를 클릭해줍니다. 그리고 그 아래 증명문서 발급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으로 들어갑니다.

e보건소-메뉴

본인인증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다면 간편인증 또는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카카오톡 본인인증이 가장 빠르게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공동인증서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다면 그걸로 인증해도 상관없습니다. 방법은 다양하니 아무튼 인증하시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발급하기

보건증-접수번호

저 같은 경우는 보건증 유효기간 1년이 지나서 조회가 되지 않는 상태지만, 여러분은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기 땜누에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1건이라고 표기가 될 것입니다.

아래 접수번호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출력 창이 뜨면서 인쇄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발급 보건소나 발급 병원 찾기를 하느라 시간을 낭비하기 마시고, 집에서 간편하게 보건소 재발급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까먹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