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3분이면 충분합니다.)

보건증 온라인 발급 하고 pdf로 출력까지 하고 싶은데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서 좀처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부터 차근차근 과정을 설명드릴테니 혼자 헤메지 마시고 사진과 함께 따라와주세요.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 증명문서발급 메뉴를 클릭한다.
  • 하단에 있는 발급 서비스 중 건간진단결과서 바로가키로 이동한다.
  • 약관에 모두 동의한다.
  • 간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를 진행한다.
  • 건간진단결과서 (구 보건증) 발급 내역 조회한다.
공공보건포털-메인화면

핸드폰 pc 어느거나 상관이 없지만 프린트 출력을 하시는 경우라면 pc로 접속하셔서 진행하시는게 출력하기 편합니다. 위 사진은 모바일로 진행한 것이지만 과정은 똑같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처음 홈페이지에 접속하시고 증명문서 발급을 누르면 건강진단결과서를 어디서 뽑는지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바일은 화면을 아래로 내리시면 되고 pc는 좌측에 있는 메뉴를 살펴보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보건증-간편인증

그리고 간편인증 같은 경우는 대부분 해보셨겠지만 안해보신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면 카카오톡, 네이버와 같이 간편인증과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로 인증하실 수 있습니다.

편하시는걸로 진행하시고 조회하기를 누르시면 발급하기 버튼이 보이실 겁니다. 누르시면 자동으로 pdf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출력까지 진행하시면 됩니다.

만약 발급내역을 조회했는데 0건으로 뜨는 경우는 기존 보건증 유효기간(1년)이 만료되었거나 검사를 받지 않는 경우 입니다. 가까운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으신 다음 다시 진행해주세요.

기간

만약 검사를 받았는데도 0건으로 표기된다면, 평균적으로 발급까지 2~3일이 걸리니 조금 더 기다려보시고 추후 보건소에 문의해보시실 바랍니다.

검사일로부터 5일까지는 넉넉하게 기다려보시고 너무 오래걸린다 싶은 경우만 문의를 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왠만하면 문자로 통보가 옵니다.

주민번호

학생과 같은 미성년자의 경우 학생증과 주민등록등본을 가지고 보건소에서 검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용도에 따라 다르긴 한데, 회사에서 세금이나 4대보험과 같이 주민번호 필요한 경우가 있는 경우에는 주민번호 뒷자리를 공개로 설정해두시는 게 좋고 아닌 경우에는 비공개로 설정 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